대북 첩보 ‘켈로부대원’ 55년 만에 유공자 인정받아 _카지노에 돌풍이 뭐야_krvip

대북 첩보 ‘켈로부대원’ 55년 만에 유공자 인정받아 _방주 슬롯 제한을 제거하는 방법_krvip

6.25 전쟁 당시 '무명용사'로 대북(對北) 첩보작전을 수행했던 '켈로(KLO)부대원'이 복무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하다 55년만에 국가유공자가 됐다. 국민고충처리위원회는 20일 병상일지 등 관련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국가유공자에서 제외된 켈로부대원 임덕준(서울 강서구 화곡동) 씨가 낸 고충민원에 대해 "유공자 여부를 재심의해야 한다"는 의견을 국가보훈처에 전달했고, 보훈처가 이를 수용함에 따라 임 씨가 최근 국가유공자 증서를 받게 됐다고 밝혔다. 켈로부대는 미국 극동군사령부가 첩보활동을 위해 설치한 `주한연락처'(KLO:Korea Liaison Office)라는 의미의 대북 첩보부대로 북한 출신들로 구성, 북한 관련 첩보 수집, 북한군의 병력.장비규모.보급현황 파악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. 켈로부대원들은 대부분 정식 군번을 부여받은 정규군이 아니어서 `무명용사'로 남아있다 1995년 `참전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'이 제정되면서 유공자로 인정받는 길이 열렸지만 관련 기록이 거의 없어 부대원 상당수가 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했다고 고충위는 전했다. 고충민원을 낸 임 씨는 황해도 송화 출신으로 1950년 12월 해병대 모병 7기로 입대했으나 북한 출신이라는 이유로 켈로부대에 편입된 뒤 1953년 2월 북한군 주둔지역인 송화지역에 침투해 정보를 수집, 귀대하다 지뢰 파편이 우측 얼굴을 관통하는 큰 부상을 입었다. 이후 임 씨는 동료의 등에 업혀 귀환, 부대내 간이의무대에서 이웃마을에 살았던 이모 간호사에게 응급치료를 받은 뒤 인근 해역에 정박중이던 유엔군 병원선으로 옮겨져 치료받다 제대했고, 이후 1961년에서야 군번을 받게 됐다. 하지만 임 씨가 전쟁중 부상했다는 것을 입증할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했다. 임 씨는 이후 1999년 11월과 2003년 4월 2차례에 걸쳐 국가보훈처에 국가유공자 신청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지난해 1월 고충위에 민원을 냈다. 고충위는 6개월에 걸친 조사를 통해 임 씨를 치료한 간호사와 병원선으로 후송한 소대장 등의 증언 등을 확보하고 국가보훈처측에 "제대후 7년이 지난뒤에야 겨우 군번을 받은 임 씨에게 병상일지 등 입증기록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인 만큼 고충위 조사 결과를 수용해 유공자로 인정해야 한다"고 권고했다. 이에 보훈처는 지난해 11월 임 씨의 유공자 신청을 재접수한 뒤 같은해 12월말 유공자로 의결하고 최근 국가유공자 증서를 발부했다고 고충위는 전했다. 임 씨는 "제대할 당시 `30년간 부대활동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'는 서약을 강요받은 뒤 `참전유공자'로만 인정받아 매월 7만원만 받아왔으나 부상 후유증에다 아내까지 파킨슨병에 걸려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"면서 "국가에 목숨을 바쳐 헌신한데 대해 뒤늦게마나 국가유공자로 인정받게 돼 기쁘다"고 말했다.